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인공지능(AI) 생태계 혁신을 위한 GPU(그래픽처리장치) 확보에 속도를 낸다.
과기정통부는 13일 유상임 장관 주재로 '제4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열고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추진방안을 통해 첨단 GPU 1만장을 확보하기 위한 1조46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한 데 이어, 예산의 신속한 집행을 위해 GPU 구매부터 구축, 활용에 이르는 전주기 전략을 마련했다.
특별위원회는 연내 GPU 지원 착수를 목표로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GPU 구매·구축·활용에 이르는 절차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먼저 정부는 첨단 GPU를 빠르게 확보·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CSP)을 공모를 통해 선정하고, 이들과 협력해 GPU 구매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된 CSP는 기존 데이터센터 공간에 대규모 클러스터 형태로 GPU를 순차적으로 구축하게 된다. 구축된 GPU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중심으로 국내 산학연과 국가 프로젝트 등에 전략적으로 배분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첨단 GPU 확보는 우리나라 AI 생태계 혁신의 시작”이라며 “민관이 협력해 연내 GPU 확보와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이 대한민국의 AI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논의된 GPU 확보 방안은 향후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종 심의·의결될 예정이며, 정부는 이후 민간 CSP 공모에 착수할 계획이다. 유 장관은 이와 관련해 이번 주 중 미국을 방문해 엔비디아(NVIDIA)와 GPU 확보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