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관세' 예고된 베트남, 美와 첫 장관급 관세협상

  • 베트남 산업무역부 "양국 협상 방식·계획 등 합의"

베트남 하이퐁에서 컨테이너 트럭들이 하이퐁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진입을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베트남 하이퐁에서 컨테이너 트럭들이 하이퐁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진입을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베트남이 46%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적용하기로 한 미국과 첫 장관급 관세 협상을 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응우옌 홍 지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이 지난 15~16일 제주도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직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났다.
 
양국이 지난달 12일 온라인 회의를 한 이후 처음 개최된 장관급 대면 협상이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성명을 통해 “그리어 대표는 베트남의 접근 방식과 제안에 대체로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양국이 협상 원칙과 방식, 방향과 계획 등에 대한 높은 수준의 합의에 도달했다”며 “향후 기술적 협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양국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경제, 무역, 투자 협력을 위한 건설적이고 개방적 협상이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이다. 베트남의 지난해 대미 상품 무역흑자는 역대 최대인 1235억 달러(약 173조원)였다. 흑자 폭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4번째로 컸다.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46% 관세 부과를 7월까지 연기했다. 로이터는 “만약 이 관세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을 최대 수출 시장으로 두고 수출용 제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베트남의 성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짚었다.
 
베트남은 대미 무역흑자 축소를 원하는 미국 요구에 대응해 미국산 상품 수입 확대 등에 나섰다.
 
특히 베트남 정부는 지난달부터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해 원산지 관리를 강화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