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가 21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잠정)'에 따르면 1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총 13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명(0.7%) 감소했다. 사망사고 건수는 129건으로, 7건(5.1%) 줄었다.
재해조사 대상 통계는 산업안전보건법 적용 사업장에서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 가운데 사업주의 '법 위반 없음'이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집계된다. 노동관계법 등을 위반해 노동자가 사망한 경우를 선별해 파악하는 정보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사망자가 71명으로 전체의 51.8%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보다 7명(10.9%) 증가했다. 고용부는 1분기 건설업 사고사망자 수가 늘어난 배경으로 부산 기장군 건설현장 화재(사망 6명), 세종-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사망 4명) 등 대형 사고의 영향을 꼽았다.
제조업은 2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명(6.5%) 줄었고, 기타 업종은 6명 감소한 37명(14.0%)으로 파악됐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50인(억) 미만 사업장에서 83명, 50인(억) 이상 사업장에서 54명이 사망했다. 50인 미만에서는 전년 대비 5명(6.4%) 늘었고, 50인 이상에서는 6명(10.0%) 줄었다. 전체 사고사망자의 약 60%가 50인 미만 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한 셈이다.
50인 미만 사업장 중 5~50인 미만에서는 4명(9.1%)이 감소했으나, 5인 미만에서는 9명(26.5%)이 증가했다. 5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건설업이 7명(28.0%)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이 62명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물체에 맞음(16명) △깔림·뒤집힘(13명) △끼임(11명) △부딪힘(11명) 순이었다. 특히 떨어짐 사고는 전체의 45.3%를 차지해 여전히 가장 치명적인 재해 유형으로 꼽혔다.
고용부 관계자는 "건설업 중대재해를 감소세로 전환하기 위해 상반기에 건설 현장 감독·점검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노동관서별 건설사 간담회를 통해 안전투자 및 자체 안전점검을 강화해 위험성평가 내실화 등 실질적인 재해예방 활동에 집중하겠다"며 "위험요인을 신속하게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