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되는 美日 관세협상…韓 대응 전략도 '촉각'

  • 자동차 관세 등 쟁점에 美日 협상 교착상태

  • 美日 환율 원칙만 확인…엔화 절상 가능성↑

  • 日전략 韓에도 시사점…"시간 두고 대응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톨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톨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일본 간 무역협상이 자동차 관세 등 핵심 쟁점을 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미·일 재무장관 회담에서 엔·달러 환율 수준에 관한 구체적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환시장에서는 미국이 아시아 통화 절상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시각이 여전히 유지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원화도 절상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일 무역협상이 빠르게 타결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자동차 관세 등 핵심 쟁점으로 인해 합의가 지연되고 있다.

당초 일본은 트럼프 행정부의 '해방의 날' 관세 발표 후 가장 먼저 협상에 나섰던 국가였다. 다만 일본이 자동차 등 미국이 부과한 모든 신규 관세의 철폐와 환율 개입 불가, 대미 투자와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제안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협상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권도현 국금센터 뉴욕사무소장은 "25% 자동차 관세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된 가운데 일본의 전략은 '빠른 협상 타결'에서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며 "미국과 일본 협상단은 이번주 말부터 3차 협상에 돌입하지만 참의원 선거가 예정된 7월까지 협상이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설명했다.

협상이 지속될수록 한국 수출기업들은 미·일 관세 협상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에 직면할 전망이다. 특히 자동차·철강 등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협상 지연에 따른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이 빠르게 협상에 나서려 했지만 상호관세 등 서둘렀던 것에 비해 득을 본 게 없다"며 "협상이 조속하게 해결되면 한국 경제가 어느정도 불확실성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좋은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미·일 재무장관은 '환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는 합의를 확인하기도 했다. 외환시장에서는 미국이 아시아 통화의 절상을 유도하고 있다는 인식이 여전히 깔려 있다. 특히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기조와 맞물려 엔화 강세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엔·달러 0.24% 내린 143.211엔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도 이날 1370원대까지 급락하는 등 절상 압력을 받고 있다.

일본이 관세와 환율 이슈를 분리해 협상에 나선 것은 미국과 통상 교섭을 이어가야 할 한국 정부에도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나 한국은 대통령 공백과 주한미군, 북핵 문제 등으로 협상에서 취약한 상태인데 일본의 사례가 시간을 벌며 유리한 조건을 탐색하는 전략적 접근으로 참고할 만하다는 것이다.

우 교수는 "우리도 일본처럼 시간을 끌고 다른 나라의 협상 결과를 보고 맞춰가는 전략이 나을 수 있다"며 "다른 국가도 협상을 미루고 있는 상태라 정권교체 상황을 핑계로 해서 적당한 기간 일의 경계를 지켜보는 것이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일본처럼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돼야 한다'는 원칙을 따르게 되면, 지금까지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온 조치를 더 이상 쓰지 못하게 된다"며 "이 경우 외국인 자금 유입 등으로 원화가 강세로 움직일 때 정부가 이를 억제하지 못해, 원화 절상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