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진상규명·처벌 우선…합의 종용 규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23일 김포공항에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참사 유가족 대책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23일 김포공항에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참사 유가족 대책위]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23일 사고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유가족들은 이날 서울 김포국제공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국내 항공 역사상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건임에도 지금까지 어떠한 진상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없이 179명의 죽음이 묻히고 있다”며 “우리가 바라는 건 오로지 단 하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179명이 숨졌지만 지금까지 처벌된 사람도 없고 발견된 진실도 없다”며 “그런데 제주항공은 유가족에게 최종합의를 하자며 등기를 보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 이유에 대해 ‘실수’라고 한다”며 “무려 김앤장 변호사를 고용하는 제주항공이 과연 아무 이유 없이 이런 실수를 할 수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유가족들은 사고 기종에 대한 정확한 정밀검사가 있었는지에 대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의 조사를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5년간 제주항공은 ‘항공 안전법 위반’으로 받은 행정 처분과 중징계에 해당하는 ‘운항 정지 처분’이 국내 항공사 중 가장 많다”며 “하지만 제주항공의 항공기 1대당 정비 인력은 7.5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철새 도래지에 위치한 공항 관리 문제도 짚었다. 이들은 “철새 도래지에 공항을 만들었으면 제대로 관리돼야 했다”며 “사고 당일 공항공사와 관제탑은 거대한 운집을 이룬 새 떼를 적시에 쫓지도 발견할 수도 없었다”고 했다. 또 “’조류 충돌 우려’를 논의하는 위원회 회의가 무안공항에 있었지만 제주항공은 이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고 지난해 7월에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제주항공의 ‘조류 충돌 대비 훈련’ 여부에도 의구심을 드러냈다. 이들은 “사고 당시 조종사는 조류 충돌 당시 착륙 중에는 새 떼를 뚫고 착륙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엔진 가속으로 상승했다”며 “제주항공은 조류 충돌 대비 훈련을 제대로 실시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제주항공 사고기의 철저한 증거 보존을 강조하며 “김이배 제주항공 사장은 유가족 지원과 항공기 안전 관리를 약속하며 신뢰 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지난해 12월29일 오전 9시3분께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 활주로 밖 로컬라이저 콘크리트 둔덕을 정면충돌해 폭발했다. 사고로 탑승자 181명(승무원 6명·승객 175명) 중 179명이 숨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