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서울 강남구 양재 엘타워에서는 'AI 시대 및 6G 이동통신을 준비하는 전파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김범준 가톨릭대학교 교수는 "인공지능(AI)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트래픽이 늘어나고 있다"며 "2030년까지 전 세계 기기당 월평균 데이터 트래픽은 약 35GB까지 증가하고, 증가 속도 역시 3배는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5년간 이동통신 트래픽 증가율을 살펴보면 지난 2019년 총 트래픽이 56만 테라바이트(TB) 였던 것이, 지난해 109만TB로 5년 만에 약 50%가 늘어났다. 1가입자당 트래픽 사용량도 2019년 10.7기가바이트(GB)에서 지난해 20.1GB로 약 50%가 증가했다.

이 증가 수요는 현재의 5G로 커버 할 수 있는 수준이다. 현재 이통사들이 확보한 5G 주파수 대역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다운로드 위주로 판단해 왔지만 앞으로는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주파수 정책 역시 빠른 업로드 속도와 대용량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데 문제 없도록 할당 체계를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AR, VR, 생성형 AI 도입으로 다운로드 트래픽보다 업로드 트래픽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AI 어시스턴트와 생성형 AI 등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데이터 업로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재할당 대가 산정에 대한 투명성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주파수를 사가라고 이야기해도 통신사들이 주파수를 안 사가는 시점이 도래할 수 있다"며 "재할당 대가를 투명하게 산정해 정부와 통신사 간 갈등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