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3일 김주현 전 민정수석을 소환 조사 중이다.
김 전 수석은 이날 오전 9시 46분께 내란 특검 조사실이 마련된 서울고검 청사로 출석했다.
김 전 수석은 '계엄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적이 있나', '국무회의 관련해서 조사 받으러 온 것이냐' 등의 취재진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근 거리에서 보좌하며 법률 참모 역할을 했던 김 전 수석을 상대로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 과정, 사후 선포문 작성 후 폐기 경위, 대통령 안가(안전가옥) 회동에 관한 의혹 등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으로부터 "계엄 이후 김 전 수석으로부터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해야 하는데, 비상계엄 관련 문서가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강 전 실장은 이어 새 비상계엄 선포 문건을 작성해 한덕수 전 국무총리,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서명을 받았으나, 며칠 뒤 한 전 총리가 '없던 일로 하자'고 해 문건을 폐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팀은 검찰 고위검사 출신이자, 윤 전 대통령의 핵심 참모였던 김 전 수석을 상대로 사후적으로 불법 계엄을 은폐하도록 조언했는지, 계엄을 사전에 인지하거나 그 과정에 가담했는지 등을 조사할 전망이다.
계엄 해제 당일인 지난해 12월 4일 대통령 안가에서 이뤄진 '안가 회동'에 대한 조사도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해당 회동에는 김 전 수석,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등이 참석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2차 계엄 또는 계엄 수습 방안 등을 논의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한편 김 전 수석은 검찰이 작년 10월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을 무혐의 처분하기 전 심우정 검찰총장과 비화폰으로 통화한 사실이 최근 알려져 논란이 됐다. 이로 인해 김건희 특검팀 수사 대상으로도 거론되는 상황이다.
내란 특검팀은 오는 5일 윤 전 대통령 2차 조사를 앞두고 관련자들을 불러 사실관계를 다지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날엔 한 전 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안전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소환 조사했으며 이날도 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등을 소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