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가 3200선을 넘보는 가운데, 공매도와 CFD(차액결제거래) 증가세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 증시가 연일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속에서도 일부 투자자들이 주가 하락에 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순보유 잔고는 9조445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월 31일 공매도 거래가 전면 재개된 이후 최대치다. 재개 초기 3조9156억원 수준이던 잔고가 3개월여 만에 무려 131% 급증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순보유 잔고 비중도 0.19%에서 0.35%로 상승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공매도 순보유 잔고가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9일 기준 코스닥의 공매도 순보유 잔고는 3조9287억원으로, 공매도 재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고 비중은 0.52%에서 0.96%로 확대됐다.
공매도뿐 아니라 CFD 매도잔고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CFD 매도잔고는 24억7500만원으로 3월 31일(5억4900만원) 대비 340%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CFD는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기초자산 가격의 차익만 현금으로 결제하는 장외파생상품이다. 가격 변동에 따른 차익이 목적이며 진입 시점과 청산 시점의 가격 차액에 CFD 계약 수량을 곱해 이익·손실 금액이 정해진다. 주식을 실제로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할 수 있어 공매도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국내에서는 CFD는 전문투자자들만 가능한 거래방식이다.
우석진 명지대 교수는 “강세장 속 일부 과열된 종목의 조정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라며 “기관과 외국인 수급, 공매도 추이 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코스피 상장 종목 중 시총 대비 공매도 순보유 잔고 비중이 가장 큰 종목은 이차전지·반도체 소재 기업 SKC로 그 비중은 5.55%에 달한다. 이어 한미반도체(4.92%), 신성이엔지(3.89%), 호텔신라(3.84%) 등이 뒤를 이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제룡전기(4.70%)의 비중이 가장 컸다. 브이티(4.67%), 다날(4.52%), 제주반도체(4.34%), 네이처셀(4.10%) 등도 비중이 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