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국회 등에 따르면 전 후보자는 정의용 국민의힘 의원이 '북극항로 거점항구로서 복수(부산, 울산, 포항)의 항만을 지정해 중점개발하는 복수거점(멀티 포트) 전략에 대한 후보자 입장'을 묻는 서면 질의에 "북극항로 개설 및 북극물류 시대에 대비해 국내 항만별 화물 및 물류 특성을 고려한 국가 전략 차원에서 '북극항로 거점항만 조성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 활성화 시기와 예상되는 항만별 특성을 감안한 거점화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장관으로 임명되면 관련 사항을 면밀히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 거점항구로 포항 영일만항을 육성하는 것에 대해 "포항항은 입지적 특성과 취급화물을 고려할 때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상당한 물류·산업 여건의 변화가 예상된다"며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관련 사항을 면밀히 살펴보겠다"고 강조했다.
북극항로는 부산항에서 출발해 베링해협과 러시아 연안의 북극해를 통과한 뒤 유럽으로 향하는 북동항로와 미국으로 들어가는 북서항로로 나뉜다. 기존 항로인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항로보다 약 30% 이상 거리가 단축되는 최단 항로로, 네덜란드 로테르담까지 이동할 경우 항해일수를 최대 10일 이상 줄일 수 있다.
북극항로 추진은 해수부 부산 이전과 맞물려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다. 해양 거점인 부산을 북극항로의 출발점으로 삼아 해운·물류뿐 아니라 전반적인 해양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col**** 2025-07-13 22:51:27해수부 부산이전 환영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