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치영 "채무조정·재기지원 원스톱 플랫폼 마련해야"

  • 소공연 17일 '소상공인 금융 애로 간담회' 개최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이 17일 소상공인 금융 애로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소상공인합회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가운데)이 17일 '소상공인 금융 애로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소상공인합회]

소상공인연합회는 '소상공인 금융 애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4일 대통령이 주재한 충청권 타운홀 미팅에서 논의된 소상공인 채무 부담 완화 논의의 후속조치다.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 의견 수렴과 금융당국의 소상공인 금융 관련 정책방향 발표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채무조정과 재기지원을 연계하는 원스톱 플랫폼 마련의 필요성도 건의했다.

송치영 회장은 "진정한 민생회복은 민생의 중요한 축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회복에 달려있다"며 "성실상환자에게도 금리감면, 자금 공급 등 향후 정책지원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공연은 지난 대선과정에서 소상공인연합회가 만든 소상공인 정책과제 중 소상공인 금융정책과 관련해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건의했다.

소상공인 희망 통장 신설, 소상공인 맞춤형 신용평가모델 구축, 채무조정 플랫폼 통합, 창업멘토링 제도 활성화, 중도 상환 수수료 인하대상 확대, 소진공 직접대출 확대, 카드론 대출규제완화, 대부업체 새출발기금 협약기관 포함, 소상공인 채무 경감 프로그램 홍보 방안 등의 내용이다.

이에 대해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 신규 자금공급방안 수립 △ 중도상환 수수료 완화 등 금리경감 3종 세트 마련 △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 추진 △ 소상공인 금융 정보분석 고도화 △ 개인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등의 소상공인 금융애로 해결 관련 5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소공연은 간담회를 계기로 소상공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금융정책 수립을 위한 실무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며 금융권과의 연계 방안을 강화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