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불확실성 커지자…ADB, 올해 韓 성장률 전망치 0.8%로 하향 조정

  • 7월 아시아 경제전망…韓 성장률, 직전 전망 대비 0.7%p↓

  • 美 관세·무역 불확실성에 수출 위축…아태지역도 0.2%p 낮춰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이 1%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전망보다 대폭 하향된 것으로 수출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 크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이날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ADO)을 통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짚었다. 지난 4월 연간전망(1.5%)에 비해 성장률 전망치가 0.7%포인트 대폭 하향 조정된 것이다.

ADB가 내놓은 성장률 전망치는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상치와 부합하는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망한 성장률 전망치인 1.0%보다는 낮다.

수출 관련 불확실성이 높아진 영향이 크다. ADB는 미국의 관세 인상과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출이 위축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은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25%), 철강(50%) 등에 대한 품목 관세는 이미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길어지고 있는 건설투자 감소도 국내 경제의 하방 압력을 높이고 있다. 부동산 시장도 약세를 보이면서 성장이 둔화되는 모양새다.

지난해 연말 이후 지속됐던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난달 대통령 선거 이후 해소된 것은 우리 경제에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ADB는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확장 재정정책에 따라 하반기 내수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은 직전 전망 대비 0.3%포인트 감소한 1.6%로 짚었다. 이 역시 수출과 관련한 안개가 짙은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무역 불확실성과 미국의 관세 여파는 한국 경제에 지속적인 부담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물가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모두 1.9%로 전망했다. 이 역시 지난 4월 전망을 유지한 것이다.

ADB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이전 전망보다 0.2%포인트 하향 조정한 4.7%로 짚었다. 내년 성장률도 4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춘 4.6%로 내다봤다.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위축, 중동지역 갈등 등 지정학적 위기로 인한 해상운송 차질·유가상승, 중국의 부동산시장 장기 침체 등 복합적인 요인이 발생한 탓이다.

중앙아시아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권역의 성장률 전망치가 하향 조정됐다. 중앙아시아는 직전 전망 대비 0.1%포인트 오른 5.5% 성장이 점쳐진다. 반면 동아시아(4.3%), 남아시아(5.9%) 성장률 전망치는 4월 전망 대비 각각 0.1%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동남아시아(4.7%)는 성장 기대치가 0.5%포인트 낮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