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 부처 합동 '경제안보품목·서비스 전문위원회'를 주재하고 경제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공급망 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특정국 의존도가 높고 국내 대체 생산이 어려운 품목과 서비스를 경제안보품목·서비스로 지정해 관리 중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환경 변화를 고려한 경제안보품목·서비스 개편안에 대해 관계부처 의견을 수렴했다.
또 공급망을 더욱 튼튼하게 구축하기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범정부 차원의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경제안보품목·서비스 개편안을 비롯한 주요 논의사항은 향후 기획재정부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공급망안정화위원회에서 최종 심의·확정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