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는 올 2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매출액 48조2867억원(자동차 37조302억원, 금융 및 기타 11조2564억원), 영업이익 3조6016억원을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매출액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말했다.
2분기 도매 판매량은 106만5836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0.8% 증가한 수치다. 국내 판매량은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판매됐다.
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만2305대를 기록했으며,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줄었지만 전체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만7296대가 팔렸다.
2025년 2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전기차(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가 판매됐다. 이 중 EV는 7만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8703대로 집계됐다.
매출 원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다. 판매 관리비는 마케팅 및 연구비용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매보증비용의 감소로,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11.4%를 나타냈다.
경상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조3853억원, 3조2504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관세 등 통상 환경의 변동 방향성이 큰 만큼 하반기 경영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 신흥 시장 중심 판매 둔화가 이어지면서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하반기에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는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연초에 발표한 '25년 가이던스'를 잠정 유지하고, 8월 1일에 발표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을 기반으로 전략 고도화를 통해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면서 "최근 복합적인 대내외 경영 리스크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근본적인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한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2분기 주당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보다 25% 오른 2500원으로 발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거시적인 경영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해 기존에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