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美관세 20∼25% 대비 중..."9∼10월 타결 목표로 협상"

  • 트럼프 "인도, 좋은 친구였지만 미국에 많은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인도 국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인도 국기,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인도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인도가 이에 대비하면서 오는 9~10월 중 최종 합의를 목표로 포괄적인 무역 협정안을 마련 중이다.
 
30일(현지시간) 로이터·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내달 1일로 예정된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새 협상안을 제시하기보다 포괄적 양자 무역 협정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내달 중순 미국 대표단의 인도 방문을 계기로 협상에 다시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인도 정부 관계자는 “미국과의 협상은 긍정적으로 진행 중이며 9~10월 중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이어 최악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 관세를 부과하는 서한을 발송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그는 “이미 미국과 5차례 협상이 진행된 만큼 이는 일시적 조치이며 합의가 곧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20∼25%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도 협상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최종 관세율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스코틀랜드에서 미국 워싱턴으로 향하는 전용기 에어포스원 기내에서 “인도는 좋은 친구였지만, 거의 모든 다른 국가보다 더 많은 관세를 (미국에) 부과해 왔다”며 “그렇게 둘 수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인도에 대해서 26%의 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또 최근 그는 미국과 관세 합의를 못 한 약 200개국에 15∼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빠른 협상보다는 좋은 협상에 더 관심이 있어 보인다며 인도와는 추가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도가) 시장 일부를 개방하는데 관심을 보였다”면서도 “인도의 무역 정책은 오랫동안 국내 이익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인도는 광범위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제안하고 비관세 장벽 완화 노력도 하고 있지만 농업과 유제품 분야는 여전히 ‘논의 불가’ 영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인도에서 농업은 전체 인구의 약 42%가 생계를 의존하는 핵심 산업이다. 미국에 시장을 개방할 경우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의 생계가 위협받을 수 있기에 해당 분야에서 양보하지 않고 있다. 유전자변형작물(GMO) 수입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또한 자동차 시장에 대해서도 대폭 개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자동차 부품과 의약품 등 일부 품목과 관련해서는 미국에 무관세를 제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또 다른 인도 정부 관계자는 “미국이 브릭스(BRICS) 국가들을 대상으로 달러화 탈피와 러시아산 원유 구매 문제 등을 이유로 관세 위협을 강화하고 있다”며 “인도는 전략을 조정하면서 새로운 제안을 보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인도 수출업체들이 경쟁국보다 우대된 (시장) 접근권을 확보하는 타결안을 여전히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도 협상단은 다섯 차례 미국을 방문해 관세율 인하를 위한 협상을 진행했으나 아직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 인도와 미국의 상품 무역액은 약 129억 달러(약 17조8000억원)에 달했고 인도는 약 46억 달러(약 6조3000억원)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