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정이 3일 실무 고위당정 협의회를 열고 오는 7일 고위당정에 올릴 안건을 조율했다. 다만 검찰청 해체 후 수사권을 담당하는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의 소관 부처를 어디로 할지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실무 고위당정협의회를 진행한 뒤 기자들과 만나 "노동 안전 대책과 재해재난 대책, 정부조직개편안을 고위당정 안건으로 올리는 걸로 정리했다"며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안건으로 올리기로만 했고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 정책위의장은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등 관련 개혁 논의가 진행됐느냐'는 질문에도 "구체적으로 얘기하지 않았다"며 "(금융 관련해서는 한 번 발표가 된 적 있는데) 노동 안전 대책 중 ESG라든지 대출 관련 사항에서도 사고가 많이 나는 부분에 대해 얘기했고, 그 내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도) 같이 오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원총회에서 나오는 결과를 보고 정부조직법을 다시 논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개진하고, 개진한 의견들을 당에서 모아서 7일 고위 당정협의회 때 얘기할 것"이라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다 정리를 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중수청의 소관 부처를 별도의 법률로 정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어딘가 속하는 것으로 정리를 하긴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이날 실무 고위당정협의회에서는 노동 안전 대책 및 재난재해 대책 초안을 보고 받고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조치들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했다"며 "산업안전감독관 숫자를 늘리고 기술직 또는 경력직으로 배치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김병욱 대통령실 정무비서관도 "산업재해 예방, 자연재해 극복 방안이 주된 토론 내용이었다"며 "(정부조직개편 관련해서는) 당 의원총회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실무 고위당정에는 한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김영환 당대표 정무실장, 허영 원내정책수석부대표, 강준현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 측에서는 김 정무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