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외교장관 "북한 완전한 비핵화·납치 문제 해결 의지 재확인"

  • 러시아, 에스토니아 등 영공 침범 용납못해…이스라엘-하마스 휴전 촉구

  • "러시아에 추가 경제제재 검토…우크라 지원 위한 러 자산 활용 논의 환영"

  • 中겨냥 "동중국해·대만해협 등 무력·강압 통한 현상변경 시도 강력 반대"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일본·영국 등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를 계기로 뉴욕에서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재차 확인했다.

23일(현지시간) 캐나다 정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G7 외교장관들은 회동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납치 문제의 즉각 해결을 위한 우리의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포기하면 만날 수 있다”고 언급한 직후 나온 반응이어서 주목된다. 앞서 한·미·일 외교장관도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에서 만나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채택한 바 있다.

G7 외교장관들은 러시아가 최근 에스토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영공을 침범한 사건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이는 용납할 수 없으며 국제 안보를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對)러 제재와 관련해서는 "제3국에 대한 조치를 포함해 러시아에 추가적으로 경제적 희생을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며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러시아 자산을 보다 더 활용하겠다는 G7 재무장관들의 논의를 환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과 협력해 우크라이나에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안보를 보장함으로써 강인하고 독립적이며 주권을 지닌 번영하는 우크라이나와 지속 가능한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들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가자전쟁에 대해서는 가자지구 민간인들이 겪는 막대한 고통을 시급히 완화하기 위해 대규모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고 모든 인질을 석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을 재차 촉구한다"고 전했다.

이어 "하마스는 가자의 미래에 어떤 역할도 가질 수 없고, 다시는 이스라엘에 위협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우리는 가자 재건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향후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아랍 파트너들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밝혔다.

G7 외교장관들은 성명에서 지난 2015년 체결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서명한 당사국인 E3(영국·프랑스·독일)가 최근 이란의 합의 불이행을 이유로 제재 자동 복원을 의미하는 '스냅백' 절차를 발동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이들은 "이란이 핵확산금지조약(NPT)상의 의무를 전면 이행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완전한 협력을 재개하며, 미국과 직접 협상에 나서서 이란이 핵무기를 결코 보유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강력하고 지속적이며 포괄적인 핵합의에 도달할 것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G7 외교장관들은 "법치에 기반한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며 "동중국해, 남중국해, 대만해협에서 무력이나 강압을 통한 현상 변경 시도를 강력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다시금 밝힌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