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오른쪽)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인공지능(AI) 산업 분야에서 금산분리 등 규제의 일부 완화를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투자 활성화를 위해 안전장치가 마련된 범위 내에서 현행 규제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 이와 같은 발언은 이날 이 대통령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만남에서 나왔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안전장치’는 독점의 폐해가 나타나지 않고, 또 다른 영역으로 규제 완화가 번지지 않는 것이다. 금산분리를 일부 완화해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줘야 한다는 판단이 ‘조건부’ 금산분리 완화 검토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금산분리는 산업자본이 금융기관의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할 수 없도록 한 규제다. 기업이 금융기관을 사금고화하거나 불공정 거래에 악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해당 규제로 인한 투자 장벽을 이유로 이를 완화해달라는 요구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
김 실장은 “금산분리 완화는 논쟁적 사안인 만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면서도 “국가전략산업에 있어서는 새로운 시대 환경에 맞춰 (규제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투자 활성화를 위해 안전장치가 마련된 범위 내에서 현행 규제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이 대통령의 발언을 전했다. 이와 같은 발언은 이날 이 대통령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만남에서 나왔다.
이 대통령이 언급한 ‘안전장치’는 독점의 폐해가 나타나지 않고, 또 다른 영역으로 규제 완화가 번지지 않는 것이다. 금산분리를 일부 완화해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길을 터줘야 한다는 판단이 ‘조건부’ 금산분리 완화 검토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금산분리는 산업자본이 금융기관의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할 수 없도록 한 규제다. 기업이 금융기관을 사금고화하거나 불공정 거래에 악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해당 규제로 인한 투자 장벽을 이유로 이를 완화해달라는 요구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