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I·엔비디아, 사우디에 500㎿ 데이터센터 건설…빅테크 잇따라 사우디 진출

  • AMD·시스코도 휴메인과 1GW 규모 데이터센터 건설 추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국-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19일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국-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와 엔비디아가 사우디아라비아에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외 다른 미국 주요 대형기술(빅테크) 기업들이 사우디에 AI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머스크 xAI 최고경영자(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날 미국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사우디에 500㎿(메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지원하는 AI 기업 휴메인(Humaine)과 함께 진행된다. 이들은 우선 50㎿ 수준의 1단계 사업을 착수한 뒤, 향후 점차 규모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xAI는 중동에서 사업을 넓히는 여러 AI 기업 가운데 하나다. 중동은 넓은 부지와 풍부한 에너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는 국부펀드 덕분에 AI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지역으로 평가된다. 앞서 아마존, 엔비디아, AMD 등도 트럼프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지난 5월 수십억 달러 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인근 아랍에미리트(UAE)에서도 비슷한 협력 사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

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기업들이 UAE 국영 AI업체 ‘G42’와 사우디 정부가 지원하는 AI 기업 ‘휴메인’에 각각 최대 3만5000대의 엔비디아 ‘GB300’ 서버(또는 동급 제품)를 판매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거래에는 칩이 중국이나 화웨이 등 중국 기술기업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각종 안전장치와 사이버보안 규정이 포함됐으며,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이 규정 준수 여부를 감독한다.

이와 함께 블랙스톤과 시스코 등도 사우디 내 데이터센터 투자에 나서거나 휴메인과의 협력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AMD·시스코·휴메인은 총 1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 중인데, 이는 xAI가 목표로 하는 규모의 두 배에 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