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총 회장이기도 한 이수영 OCI 회장의 아들들과 동아일보 김재호 사장의 주식 불공정 거래 혐의에 이어 이제는 현직 총리의 아들 내외까지 주식 불공정 거래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이들은 모두 OCI가 대규모 수출계약 등 호재성 공시를 발표하기 직전에 대량으로 주식을 사들여 내부자만이 알 수 있는 미공개 정보를 미리 알고 주식을 사들인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특히 한승수 총리 아들 부부는 주식 불공정거래 의혹 외에도 주식 매입 자금 20억원의 출처를 비롯해 의문스런 대목이 한둘이 아니다. 한 총리 아들의 장인이자 이수용 OCI회장의 동생인 이화영 ㈜유니드 회장 측은 이 회장의 주식을 담보로 20억원을 대출받아 사위 부부의 주식 매입 자금으로 줬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대출이자도 이 회장이 내주고 있다고 했다.
게다가 이화영 회장 측은 한 총리의 아들인 상준씨가 주식 거래에 관여한 바 없고 주식 매입 결정을 이 회장이 했다고 주장했는데 이 또한 차명계좌에 해당돼 금융실명제법 위반이라는 것이 야당의 지적이다.
주식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 행위는 자본주의의 기본질서를 흔드는 중대한 범죄행위다. 선진국에서 주식 불공정거래 행위를 중죄로 처벌하는 것도 이런 행위를 그대로 두면 자본주의의 토대인 주식시장의 질서가 무너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이 김재호 사장 등을 주식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수사 통보한 만큼 차제에 검찰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이들이 불법이나 탈법을 저질렀는지 엄정히 수사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검찰수사와 별개로 걱정되는 것은 이 사건을 계기로 일반 국민들 사이에 정경유착에 대한 의혹, 나아가 기업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지 않을 까 하는 점이다.
사실 지난 시기 한국의 대기업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갖가지 특혜로 성장했다는 정경유착의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이러한 국민의 의구심은 한국경제의 규모가 커지고 민주화가 진척되면서 상당히 많이 해소됐다. 여기에는 기업이 바로 한국경제성장의 견인차라는 사실을 알리려고 꾸준히 노력해온 재계의 노력도 어느 정도 작용했다.
그런데 이번 OCI의 주식 불공정 거래 사건은 그동안 재계가 국민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온 것들을 한순간에 수포로 만들만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재계를 대표하는 단체(경총)의 수장이 경영자로 있는 기업이 현직 총리와 유력 언론사의 대표에게 내부 정보를 이용해 부당한 이익을 제공했다는 점만으로도 국민들에게 아직도 우리 사회에 정경유착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이런 사건들이 앞으로 계속 일어난다면 대기업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이번 기회에 국내의 대기업들이 OCI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이같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스스로 되돌아 보기를 권한다.
아주경제= 이형구 기자 scaler@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