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소득이 높아지면 출산율이 저조해진다는 연구분석이 눈길을 끌고 있다.
2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여성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자녀 수 보다 질적인 삶을 더 추구해 둘째 아이 출산율도 저조해진다고 밝혔다.
여성의 임금이 10% 증가하면 둘째 아이 출산 확률이 0.56~0.92% 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우자의 임금이 10% 오르면 출산율이 0.36~1.13% 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즉 여성의 임금 상승은 출산율을 하락시키는 반면 배우자의 소득 증가는 출산율을 높이는 셈이다.
또한 모형 예측 분석에서 1980년부터 2005년까지 둘째 아이 출산율의 하락 중 17.1%가 여성의 임금 상승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현상은 자녀양육 비용이 늘어남에 따라 가정 내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의 중요성이 커지기 때문으로 KDI는 분석했다.
30~34세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1980년의 40.8%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7년 53.6%에 이르렀다. 교육비 또한 급증해 가구소비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1980년의 6.3%에서 2007년 12.0%로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KDI 관계자는 "보육지원과 산전 후 휴가지원, 육아 휴직지원 등 구체적 정책지원을 통해 둘째 아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KDI는 또 "단순히 출산율 제고나 여성고용증진 중 어느 하나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일과 가정의 양립이라는 포괄적 정책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