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금리인 은행채 금리의 상승세가 단기 금리인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의 상승을 견인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변동금리형 대출의 금리도 오름세를 보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이번 주 국민은행의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고시금리는 연 5.26~6.96%로 지난주보다 0.18%포인트 급등했다.
최고 금리가 지난 3월 말 7.37% 이후 거의 넉 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번 주초 하나은행의 주택대출 고정금리는 5.96~7.16%로 2주간 0.25%포인트 급등하면서 최고 금리가 7.10%를 넘었다.
신한은행의 경우 이번 주초 5.85~6.85%로 2주일간 0.16%포인트 상승했으며 5월 초와 비교하면 0.59%포인트 급등했다.
외환은행은 5.75~6.45%로 2주 동안 0.34%포인트 올랐고 우리은행은 5.96~7.06%로 2주 전과 같았지만 5월 초보다는 0.37%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대출 고정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것은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금융채 등 시중금리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채 3년 물(AAA등급) 금리는 4월 말 4.55%였지만 이달 10일 4.81%, 17일 4.97%로 상승한 데 이어 24일에는 5.06%로 치솟았다.
이에 따라 은행에서 고정금리로 주택대출을 받은 고객들의 이자 부담이 커지게 된다.
대출 금리가 0.50%포인트 상승하면 2억 원을 빌린 고객은 연간 이자가 100만 원 늘어나게 된다.
고시금리에 가산금리를 추가해 이자를 내야 하는 신규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더 불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국민은행의 신규 대출자용 주택대출 고정금리는 기존 대출자용 최저 금리에 비해 2.30%포인트 높은 7.56% 내외이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1.80%포인트와 0.89%포인트 이상 높은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같은 고정금리 상승이 주택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변동금리형 주택대출의 금리 상승을 이끌지 주목된다.
주택대출 변동금리의 기준금리가 되는 CD 금리는 지난 4월16일 이후 석 달 이상 2.41%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의 기존대출자용 주택대출 변동금리는 4월 중순 이후 2.67~4.37%에서 변하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금리인 은행채 금리의 상승세가 지속하면 단기금리인 CD 금리도 동반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가계대출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변동금리형 대출의 금리가 상승하면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