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센터 구축으로 메세징 이중화 서비스가 가능해져 평상시에는 서울의 주 센터와 대전센터가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한 센터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센터가 메세징을 넘겨받아 서비스하게 된다.
이번에 새롭게 구축된 대전센터는 주센터 대비 SMS는 30%, MMS는 20% 향상된 처리 용량을 보유해 평상시 뿐만 아니라 명절, 연말연시 등 일시 에 메세징 사용이 급증하는 때에도 소통량을 처리할 수 있는 여유 시스템 인프라를 갖췄다.
KT는 이번 대전센터를 구축에 그린IT 개념을 적용해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했다.
설계단계부터 3D 열분석을 통한 장비의 공간배치를 최적화해 냉각효율을 향상시켰고, 전력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기존 센터 대비 20% 이상 줄였다.
KT는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용량증설 및 주요서비스 확대사업에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그린IT 전략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한원식 KT 개인고객부문 무선데이터사업본부장은 “서울에만 있었던 쇼 데이터 서비스 센터를 대전에 신규 구축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스마트폰 고객 증가에 따라 증대될 각종 데이터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지속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mosteve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