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신기림 기자) 신흥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인도의 아시아 지역 내 역할론을 강조하면서 '인도 감싸기'에 나섰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인도 방문을 한 달 앞두고 미국 정계에 인도가 남아시아를 넘어서 아시아 전역의 정치ㆍ경제ㆍ안보 등 다방면에서 좀 더 활발할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고 미 행정부 고위 관료의 말을 인용해 26일 전했다.
한 관료는 "인도의 영향력이 역세권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라며 "인도가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는 현재 아시아 지역 신흥 경제권에 쉽사리 끼어 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ㆍ중국ㆍ일본이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ㆍASEAN), 호주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미국과의 관계를 넓히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 행정부 고위 관료의 이번 발언은 인도가 아시아 지역에서 세력를 확장하는 데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인도는 올해 초 한국과 맺은 경제동반자협정(EPA)을 발효한 데 이어 일본과도 경제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날 일본을 방문한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 간 나오토 일본 총리는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하는 EPA를 공식 체결했다.
인도는 중국과 영토와 무역과 관련한 분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에 전략적 협력을 맺기에는 미국이 안성맞춤이다.
그동안 인도는 파키스탄ㆍ네팔ㆍ스리랑카 등 이웃국가와 정치 및 무역교류를 확대하려는 중국을 경계해왔다.
인도 정부는 카슈미르 지역의 중국군 병력 증강 확인 조사와 함께 아루나찰프라데시(중국명 장난)의 병력을 늘리면서 분쟁지역에 대한 경계도 부쩍 강화하고 나섰다.
인도는 지난 8년간 미국과의 공동군사훈련을 50회 이상 실시하는 등 군사적 관계도 돈독히 하고 있다.
양국간 무기 거래 역시 활발하다. 인도는 다음달 오바마 대통령의 뉴델리 방문을 앞두고 110억 달러를 투입해 다목적 전투기 126대를 수입하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고위 관료는 "미국과 인도의 관계 강화가 미국과 중국간 관계 재조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인도가 동아시아 정상회담과 같은 지역포럼에서 더 큰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kirimi99@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