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저출산 등의 여파로 초등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 1970년과 비교해 겨우 절반을 넘는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조사한 '2010 교육 기본통계'에 따르면 유초중고교 학생 수는 782만2800여명으로 지난해 보다 2.6%(20만 9000여명) 줄었다.
이는 2000년대 교육통계조사 이래 가장 큰 감소 폭이다.
특히 초등학생은 작년보다 17만5000명 이상 줄어든 329만9000여 명으로, 1970년에 비하면 57.4%에 불과했다.
한편 유치원과 초·중·고교 학교 수는 1만9850개로 2009년보다 94개 늘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유치원 21.0명, 초등학교 26.6명, 중학교 33.8명, 고교 33.7명으로 작년보다 0.5~1.2명 감소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도 유치원 14.8명, 초등학교 18.7명, 중학교 18.2명, 고교 15.5명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었다. 전문계고의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13.1명으로 가장 적었다.
취학률은 초등 98.6%, 중학교 97.6%, 고교 92.4%를 기록했다.
전문대는 7년만에 증가세로 반전했다.
한국승강기대학 등 5개교가 신설되고 인천전문대가 인천대로 통폐합되면서 고등교육기관 전체 수는 4개교 늘었다.
일반대 179곳, 전문대 145곳, 산업대 11곳, 교육대 10곳, 대학원대학 40곳, 사이버대학 16곳 등이다.
학생 수는 364만4158명으로 2006년 이후 매년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2003년부터 지속적으로 줄던 전문대 재적학생이 6158명 늘어나 76만787명으로 집계됐다.
대학 계열별 입학생 비율은 일반대학의 경우 인문사회계열 44.8%, 공학계열 25.0%, 자연과학계열 18.5%, 의학계열 11.7% 순이었고, 전문대는 인문사회 33.6%, 공학 29.5%, 자연과학 25.4% 였다.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는 62만8689명으로 2009년보다 7939명 줄었다.
반면 대학원 학위취득자는 8만7870명으로 2009년보다 2273명 늘어나는 등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국내 대학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어학연수생 포함)은 8만3768명으로 이 중 학위과정의 외국인유학생은 6만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체 고등교육기관 재적학생의 1.65%를 차지했다.
학위과정 유학생의 출신 국가를 보면 중국이 4만5944명(76.6%)으로 압도적으로 많고 몽골(2196명, 3.7%), 베트남(1667명, 2.8%), 일본(1350명, 2.3%) 순이었다. G8(주요 8개국)에 속한 선진국 출신 유학생은 전체의 6.0%에 불과했다.
shu@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