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장관은 이날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세종연구소 국가전략포럼 오찬사를 통해 "천안함이 피격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북한은 한 걸음도 앞으로 나오지 않고 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현 장관은 "일각에서는 (한반도) 정세 변화의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으나 북한은 천안함 사건을 외면하고 있으며, 인도적 문제에도 소극적"이라면서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한의 책임 있는 태도는 6자회담 재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는 6자회담의 `비대칭 구조'의 한계를 경험했다. 북한은 비핵화를 되돌렸으나 우리의 대북지원은 되돌릴 수 없었고, (북한의) 1~2차 핵실험은 그 값비싼 교훈이었다"며 "문제의 핵심은 6자회담 재개 자체가 아닌 북한의 비핵화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6자회담 성공은 단순한 재개가 아닌 `비가역적 비핵화 프로세스'에 대한 6자의 일치된 의견에 달렸다"며 "우리는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정치적 결단을 지속적으로 촉구해야 하며, 이는 우리 정부가 제안한 그랜드바겐의 요체"라고 말했다.
현 장관은 또 남북 적십자회담에 대해 "우리는 이산가족상봉 정례화를 비롯해 남북 간 인도적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며 "회담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 이야기는 하지 않겠지만,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를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shiwall@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