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정치권 부름 '보이콧'… 정(政)·재(財) 관계 '악화일로'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대기업의 배짱이 좋아졌다. 정치권이 상생문화를 만들고 노동문제를 해결하자며 만든 대화의 장에 재계 총수들이 불응으로 맞선 것.

정치권은 재계의 태도를 두고 '좌시하지 않겠다'며 맹비난을 퍼부었고, 이에 대해 대기업들은 침묵을 일관하고 있어 정재계의 관계는 악화일로로 치달을 전망이다.이에 청와대는 심각하게 보고 우려를 표했다.

29일 국회는 지식경제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는 각각 '대·중소기업 상생 공청회'와 '한진중공업 사태 청문회'를 열고 재계 총수와의 대화를 시도했다.

두 위원회 일정의 성격은 다소 다르지만 사회적 대기업-중소기업·노동자 간 공생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지경위 공청위의 경우 위원회가 참석을 요청한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의장·이희범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물론 정부 인사인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까지도 불참하며 반쪽짜리로 전락했다.

환노위 청문회는 조남호 한진중공업 회장이 참석하지 않으며 아예 무산됐다.

이를 두고 정치권은 재계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으며, 국회를 무시하고 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영환(민주당) 지식경제위원장은 재계 총수들의 지경위 공청회에 참석 불응과 관련, "허창수 전경련 회장 등 세 분이 담합을 해 참석을 못한 것은 안타깝다"며 "국회가 나라도, 기업도 안중에 없이 표만 생각하는 무책임한 정치집단으로 내몰렸다. 공청회는 빛을 바래고 국민의 조롱이 될 수 있는 상황에 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태근 한나라당 의원은 "오너(재벌 소유주) 방침이 안 바뀌면 안되는데 총수부터 (공청회에) 안나오면 어떻게 (공청회를) 하느냐"고 비판했고, 같은 당 이종혁 의원도 "대기업의 중소기업 영역침투가 도를 넘었다는 것이 국민의 정서인데, 선거를 앞두고 대기업 때리기를 한다는 정치적 거풀을 씌워 출석하지 않았다. 단체장들의 불출석은 국민과의 대화를 거부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한진중공업 사태 해결을 위한 청문회에 조남호 회장이 불참한 데 대해서도 김성순(민주당) 환노위원장은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고, 정동영 민주당 의원도 "국회에 대한 능멸이고 참을 수 없는 모욕"이라고 말했다.

강도 높은 정치권의 비판에도 재계는 일일이 대응할 필요없다는듯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어, 정치권의 공세는 앞으로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날 지경위 소속인 민주당 강창일 의원은 재계의 공청회 참석 불응을 두고 "(회의에 불참한) 3단체 회장들은 따로 청문회를 소집해 반드시 출석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진중공업 사태 청문회 무산과 관련해선 환노위 민주당 의원들은 조 회장을 다시 불러 청문회를 개최하고 고발 여부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재계 갈등이 불거지자 청와대는 이날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양상이 자칫 경제 위축을 야기할 수 있는 상황으로 가지 않도록 슬기롭게 의견을 교환하고 대화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중재에 나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