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30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3포인트 상승했고,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및 부품, 기계장비 등의 증가로 전월 대비 1.7%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로도 8.3% 증가해 23개월 연속 증가를 보였다. 제조업평균가동률은 81.4%로 전월에 비해 1.0%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보건·사회복지(3.7%), 도매·소매(2.6%)등이 증가해 지난 달 대비 0.9%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로는 3.6% 증가했다.
업종별로 전년 동월 대비 금융ㆍ보험(9.3%), 도매ㆍ소매(6.4%), 보건ㆍ사회복지(5.9%), 사업시설관리ㆍ사업지원(4.1%) 등이 상승세를 보였지만 부동산ㆍ임대(-12.7%), 전문ㆍ과학ㆍ기술(-1.2%), 교육(-0.8%)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소매판매도 차량연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3%), 컴퓨터·통신기기(스마트폰) 등 내구재의 판매호조로 전월 대비 1.0%, 지난해 같은 달 대비 6.2% 증가했다.
투자부문 중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장비 등의 기계류와 운송 장비 투자가 늘어 전월보다 14.1%나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달 대비로도 10.5% 증가했다.
선박을 제외한 국내기계수주는 공공부문에서 증가했으나 머시닝센터,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등 민간부문에서 발주가 감소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감소했다.
건설기성은 건축 및 토목공사 증가로 전월대비 1.3% 올랐지만 지난해 같은 달대비로는 건축 및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11.5%가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세종시 같은 공공부문 사업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문에서 부진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2.5%감소해 14개월째 하락세를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대외불안요인이 잠재돼있어 계속 주시해야 하지만, 전반적으로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