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주택업체 내년 12만2329가구 분양, 10년래 최저치

  • 주택협 “보금자리 정책 전환 및 상한제 폐지해야”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지속되는 경기 침체 속에 대형 주택업체들의 내년도 분양계획이 역대 최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업체들은 시장 회복을 위한 보금자리주택 정책 전환, 분양가상한제·다주택자양도세중과제 폐지 등을 주창하고 나섰다.

26일 대형 건설사들의 모임 한국주택협회에 따르면 72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내년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 32개사가 121곳에서 12만2329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02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올해(17만4582가구)보다는 약 30% 감소했다. 이마저도 재건축·재개발·조합사업의 조합원 분량이 3만9541가구로 실제 일반분양 물량은 8만2878가구에 그쳤다.

내년도 분양계획이 없는 건설사는 37개사, 시장전망 불투명으로 사업계획을 미루고 있는 건설사는 3개사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이 7만8178가구로 올해(10만6383가구)보다 26.5% 감소할 전망이다. 이 지역 분양 물량이 10만가구 이하로 떨어진 것은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지방도 올해(6만8199가구)보다 35.3% 감소한 4만4151가구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유형별로는 재개발·재건축·조합 아파트가 40단지 4만8982가구로 가장 많았다. 도급사업과 분양 아파트가 각각 36단지 3만8150가구, 26단지 2만6135가구였다.

이처럼 신규 주택분양이 급격히 감소한 이유는 새 정부의 주택정책이 나올 때까지 수요 공백이 예상되고 경제여건 악화 등으로 내년 주택사업을 아예 접거나 하반기 이후로 미루기 때문인 것으로 주택협회는 풀이했다.

여기에 72개 회원사 중 21개사가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또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황이어서 신규 주택공급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주택협회 관게자는 “새 정부 출범 전이라도 민간 주택시장을 위축시킨 보금자리주택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분양가 상한제 및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와 취득세 감면 연장 등 부동산 시장을 살릴 수 있는 정책도 신속히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