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기업, 행복한 경제를 이끈다> 포스코, 통섭형 인재 육성으로 글로벌 리더 키운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3-25 16: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포스코는 글로벌 철강시장의 침체 속에서도 글로벌 통섭형 인재 육성에 역량을 집중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포스코는 장기불황을 겪고 있는 철강시장을 돌파하기 위해 단일 철강 업종에서 탈피, 종합 소재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포스코만의 다양한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강화했다.

포스코는 특히 최근 글로벌 시장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자기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과 세계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포스코는 창의력과 통찰력을 갖춘 차세대 인재육성을 위해 지난 2010년 7월 국내최초 사내 전략대학을 개설했다. [사진=포스코]
포스코가 통섭형 인재육성에 역량을 집중하는 이유는 창의와 상상력이 강조되는 비즈니스 3.0시대에 기업들이 새로운 성과창출을 위해 사업분야, 사업방식, 조직문화를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으며, 대학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문과와 이과의 학문간 통합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자기분야의 전문가이면서 타 부문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난 통섭형 인재가 직원들 사이의 경험 및 전공을 다양화하고, ‘조직의 시너지’를 높여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포스크는 이를 위해 지난 2009년부터 ‘학부산학장학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학부산학장학생제도는 대학 재학시절부터 경영역량 배양, 산업현장 및 글로벌 체험을 통해 문(文)·리(理) 통섭역량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예비 입사제도다.

포스코는 핵심인재를 인사부서 주도로 교육, 코칭, 멘토링 및 경력개발을 지원해 향후 경영리더로 육성한다는 방침 아래 지난 2003년부터 핵심인재 풀을 구축하고 순환보직, 국내외 MBA 유학 등 다양한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유학프로그램으로는 전략적 심층연구, 해외 투자 거점지역 연구, 글로벌 경영지식 습득 등을 위해 연구과정, 지역전문가 과정, 글로벌 MBA 과정, 하와이대학교 Mini-MBA 과정 등 국내외 총 7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연간 약100여명의 직원을 선발하고 있다.

또 기술혁신 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핵심 기술분야의 우수 엔지니어를 선발해 교육연수, 전문학회활동 등 고급기술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