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광주광역시는 광주민주항쟁운동과 인권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권제도와 정책 개발로 인권의 가치가 시민의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세계적인 인권도시라면서 “이번 포럼이 국내외 인권도시와 인권기구, 인권단체 상호간에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공유하여 중앙정부, 사법부, 지자체, 언론,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실천적인 인권도시를 만들어 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성 시장은 “고양지역의 아픈 과거사인 금정굴 사건이 존재한다”며, “특히, 전쟁시기 민간인 학살사건이 제주도를 포함한 대한민국 곳곳에서 발생했으며, 전세계적으로도 인권의 살상과 침해행위가 있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이번 세계인권도시포럼에서 다음과 같이 3가지를 제안하면서, 지속적이고 실천적인 논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첫째, “광주민주화 항쟁운동과 인권운동의 중요한 이슈가 국제적인 이슈화로 발전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광주민주화 항쟁운동과 같은 중요한 인권운동, 평화운동, 비폭력 저항운동이 중동과 남미는 물론이고 전세계 각지의 국제적인 인권운동가와 함께 실천적인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면서, 그것이 국가, 지자체, 언론,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포럼으로 ‘평화인권의 도시, 고양시’에서 개최되기를 희망했다.
둘째, “인권주제의 글로벌 이슈화”를 제안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로 일본의 인권정책은 국제적으로 최악이라면서, 국가적 성폭력을 한 위안부 문제를 총리에서 당대표까지 일본의 주요 지도자들이 한국과 중국 등 국제사회에 반성은 커녕 역사왜곡과 반문명적, 반인권적 테러행위를 한 것에 대해 광주세계인권포럼에서 규탄성명과 결의안을 내야하고, 유엔을 통한 국가적 성폭력 해결과 폭압적 망언행위에 대하여 적극적 규탄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끝으로 “각 자치단체의 인권조례안이 경쟁적 유행처럼 제정되는 전시행정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또 다른 형태의 반인권적 자치단체 정책을 반성하고, 시민사회단체와 인권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종합적인 로드맵을 만들어 구체적인 실천행동을 결의하고, 인권개선에 대한 지자체차원의 구체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계인권도시 포럼은 강운태 광주시장, 이희호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 게타츄 엔기다 유네스코 사무부총장 등 44개국 112개 도시·기구·단체 대표 등 550명이 9개 주제회의, 4개 특별회의로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