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배경은 대외 불확실성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달 실시할 것으로 예견됐던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연기된 것과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등 미국발 악재가 발목을 잡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여전히 높은 실업률 등을 이유로 850억 달러 규모의 자산매입(양적완화)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연준이 자산매입 축소를 뜻하는 이른바 테이퍼링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던 시장의 기대가 빗나간 것이다.
게다가 현재 미국은 내년 예산안을 둘러싼 정치권 대립으로 인해 열흘째 셧다운 상태를 지속하고 있으며,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실패할 경우 디폴트(채무 불이행)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금통위의 이번 결정은 셧다운 사태의 장기화 등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음을 감안해 일단은 관망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는 국내 경기상황도 금리 동결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경제지표의 개선세와 낮은 물가 수준으로 금리를 움직일 필요성은 낮아진 상태다.
지난 8일 발표된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동향’에 따르면 8월중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1.8% 증가했고, 설비투자도 0.2% 늘었다. 이 기간 소매판매도 전월대비 0.4% 증가했으며,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보다 43만2000명 늘었다. 생산·소비·투자 등 주요 실물지표가 모두 증가한 것이다.
다만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9월 중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5% 감소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농산물과 석유류 등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14년 만에 최저치인 0.8%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보다도 이날 발표될 한은의 내년 경기전망에 좀더 무게를 두고 있다. 한은은 지난 7월 수정 경제전망치를 발표하면서 내년 연간 경제성장률을 3.8%에서 4.0%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과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 등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더뎌질 것이란 전망이 확대되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연 3.8%에서 3.6%로 낮추고 아시아개발은행(ADB)도 3.7%에서 3.5%로 내렸다. 이에 한은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한편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 2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8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8.4%가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