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학술대회에는 산재보험 선진국인 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 전문가를 초청해 해당 국가의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 양성법을 소개한다.
산재보험 잡코디네이터는 산재 요양 초기단계부터 산재근로자의 요구와 특성에 맞춰 재활과 사회복귀까지 지원하는 요양·재활전문가를 말한다. 공단은 지난 2009년부터 잡코디네이터 제도를 도입해 현재 534명에 달하는 잡코디네이터를 양성하고 있다.
이재갑 공단 이사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유럽의 성공적인 재활관리 사례와 지난 5년 간 공단의 잡코디네이터 운영 경험을 공유하고 활발하게 토론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라며 “한국 산재보험 서비스의 새로운 발전적 기회를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