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금융, 경남은행 노조와 상생협약 체결…투뱅크 체제 유지(종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21 16:4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성세환 BS금융지주 회장(가운데)이 21일 창원 인터내셔널 호텔에서 정화영 경남은행 은행장 직무대행(왼쪽)과 김병욱 경남은행 노조위원장과 함께 상생발전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경남은행 노동조합이 BS금융지주와 상생 발전을 도모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우리금융그룹 민영화에 따라 경남은행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BS금융이 선정되면서, 경남은행 노조는 지방은행의 '지역환원'을 주장하며 BS금융의 인수를 반대해왔었다.

21일 BS금융과 경남은행 노조는 창원 인터내셔널 호텔에서 경남은행 발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합의내용을 발표했다.

양측은 ▲독립적인 자율경영권 보장 ▲완전 고용 보장 ▲복지수준 향상 ▲지주회사 사명 변경 ▲경남은행 자본적정성 유지 노력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시스템 사용 ▲신규인력 채용시 경남, 울산지역 대학생 90% 이상 유지 ▲가칭 ‘경남은행 발전위원회’ 구성 ▲경남은행의 매각 후속절차 진행에 적극 협조 등 9개 사항에 대해 합의했다.

김병욱 경남은행 노조위원장은 협약 체결 이후 따로 기자회견을 열어 "BS금융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고 판단해 협상의 우위를 가지고 임할 수 있는 시기는 지금이라 보고 대화의 장에 나서게 됐다"고 합의 배경을 설명했다.

2월 중 국회 처리를 앞두고 있는 조특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우리금융은 지방은행 분할을 적격분할로 인정받아 법인세 등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껏 노조를 비롯해 경남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이 경남은행의 지역환원을 주장하며 법안 처리를 반대해왔다. 

또한 노조는 "신임 은행장이 부임되면 최우선적으로 투쟁의 제재가 일부 있을 수있다고 판단되고, 이 경우 또 다시 노ㆍ사가 갈등하고 반목할 수 밖에 없다"면서 "신임 은행장 선임에 BS금융의 입김도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경남은행 출신의 은행장 선임을 위해 행추위 구성 전 합의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박영빈 경남은행장이 지역환원 무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면서 현재 경남은행장 자리는 공석이다. 우리금융은 22일 이사회를 열어 경남은행 행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우리금융 대표이사와 사외이사, 예금보험공사(주주대표) 관계자 및 외부전문가 등으로 꾸려질 전망이다. 

이어 노조는 "협상과정에서 BS금융의 진정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고 경남은행의 영속성과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모두 확보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협상 쟁점사항인 경남은행의 자율경영권 보장에 대해 BS금융은 지주사 내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투뱅크(Two Bank) 체제를 유지키로 했다. 은행 명칭 및 본점 소재지도 현행대로 둔다.

또한 BS금융은 경남은행 직원의 완전 고용을 보장하고, 인위적인 인원 및 점포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했다.

복지 수준에 대해서는 경남은행 직원의 임금 및 복지를 3년에 걸쳐 부산은행 수준으로 단계별 개선할 예정이다. 'BS'가 내포하고 있는 부산이라는 지역색 등을 감안해 BS금융의 사명 및 CI (기업 이미지) 변경도 추진하기로 했다.

경남은행 노조와 임직원은 조특법 개정안 통과와 확인실사 작업 등 매각 후속절차 진행에도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성세환 BS금융 회장은 "그 동안 여러 가지 우려가 있었지만 오늘 합의를 통해 BS금융과 경남은행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했다"면서 "합의 내용을 향후 경영 과정에서 충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BS금융과 경남은행이 한 가족이 된다는 것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초우량 지역금융그룹의 탄생과 함께 부ㆍ울ㆍ경 지역금융의 새로운 도약을 의미한다"면서 "앞으로 '지역에서 출발해 세계적인 금융회사로 성장한 지주회사 성공모델'이라는 대한민국 금융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