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감염증 ′봉와직염′ 8월 최다 발생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7-22 12: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세균 감염증으로 분류되는 ′봉와직염′(연조직염) 환자가 습도가 높아 세균번식이 쉬운 7~9월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에 물린 부위가 봉와직염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2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봉와직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99만8000명에서 지난해 약 115만2000명으로 5년간 15.5%(약 15만 4000명)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진료인원은 다른 계절에 비해 여름철에 발생하며, 특히 8월이 가장 많았다.

5년간 월별 평균을 보면 1월 9만3290명, 2월 8만6615명에서 6월 11만7273명, 7월 13만4598명, 8월 14만2491명으로 상승하다가 9월 12만7811명, 10월 11만3962명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손가락 및 발가락 부위에 발생한 진료인원이 약 31만 6000명(26.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봉와직염은 피부표면 작은 상처로 세균이 침투하면서 진피와 피하조직에 일어나는 세균 감염증이다. 봉소염, 봉과직염이라고도 한다. 발생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압통을 동반하며, 질병이 진행되면 물집과 고름이 생긴다.
.
봉와직염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피부손상을 막고 무좀·짓무름 등이 있으면 즉시 치료해 다른 부위로 전염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또 모기에 물린 경우 해당 부위를 긁은 후 침을 바르는 행위는 자제해야 하며 상처부위는 오염 방지를 위해 완전하게 건조시켜 연고를 도포하고 소독 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