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노선 구조조정 나선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6-09 14: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대한항공]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대한항공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선 구조조정에 나섰다.

대한항공은 9일 "글로벌 항공시장 경쟁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신규시장 노선 개설을 비롯해 부진노선 운휴·감편 등 성장동력 확보 및 수익성 제고를 위한 여객 노선 재편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우선 대한항공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규 노선 개설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올해 12월경 인도의 수도이자 북부 무역·상업의 중심지인 델리에 항공편 운항을 준비 중이다.

델리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두산중공업, GS건설, 포스코 등 국내 대표 기업들과 IBM, 제너럴일렉트릭(GE), 휴렛팩커드(HP), 구글, 야후 등 글로벌 업체들이 다수 진출해 있다.

또 간디 기념관과 1차 세계대전 당시 희생된 인도군의 위령탑인 인디아 게이트(India Gate) 등 다양한 문화적 유적지들이 있어 관광객의 발길 또한 끊이지 않기 때문에 관광수요와 상용수요 모두 높은 시장이다.

대한항공은 이와 함께 경제제재가 해제 된 이후 전 세계로부터 매력적인 투자처로 관심이 쏟아지고 있는 이란 취항도 계속 검토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3월 인천~테헤란 노선의 운수권 4회를 배분 받은 바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현재 이란에서 금융거래가 원활하지 못한 점 등 시장 상황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시장 여건이 갖춰지는 시점에 취항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수요 부진 노선에 대한 운휴와 감편도 이어진다.

대한항공은 주 3회 운항하던 인천~상파울루 노선을 브라질 리우 올림픽이 끝나는 오는 9월말부터 잠정 운휴한다.

최근 브라질은 올림픽 개최를 목전에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상용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연간 250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으며, 이 같은 이유로 미국과 브라질 간을 운항하는 항공사들 또한 운항편을 20% 정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상파울루 직항편 운휴 이후에 미주 항공사들과 공동운항 등 협력 확대를 통해 현지 교민 및 남미 지역 여행객의 불편을 최소화 할 예정”이라며 “브라질 경기가 회복되어 수요 증가하는 등 시장 여건이 호전되면 복항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인천~자카르타 노선도 인도네시아 경기 위축 및 수요 부진으로 매일 낮 시간에 인천을 출발하는 KE627·KE628편 만을 운항하며, 주3회(수, 토, 일요일) 운항하는 KE625·KE626편은 오는 9월부터 운휴한다. 이에 인천~자카르타 노선은 주 10회에서 주 7회로 축소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신규 노선을 적극 개발하는 등 수요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면서 “비 수익 노선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등 효율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선 재정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