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교육계에서는 소논문 활동이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새로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제도적으로 금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소논문의 학종 반영은 오해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이 나온다.
서울대가 15일 입학전형관련 포럼 행사에서 공개적으로 입학처장이 나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소논문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밝혔지만, 입시 후기 게시판 등에서 합격자가 자기소개서 작성시 소논문을 적었다는 등의 내용이 공개되면서 마치 전형에 반영되고 있는 정형화된 사례인 것처럼 착각을 불렀다는 것이다.
소논문 활동을 하기가 어려운 일반고에서까지 이를 교육과정에서 소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학생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높다.
내신 뿐 아니라 동아리나 봉사, 독서 등 학생부종합전형을 위한 준비로 부담이 늘면서 학생들의 피로도가 높아졌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소논문 활동까지 확산될 경우 일반고 학생들이 부담이 더 크게 다가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교육부나 교육청이 나서 아예 소논문의 학종 반영이나 자기소개서 기재를 금지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2국장은 “대학들이 학종에 반영하지 않는다고 하는데도 소논문에 대해 다수 학교가 진행하고 수험생과 학부모가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교육부와 대학이 과감하게 성취가 어려워 부담스러운 소논문 등의 항목은 학종에 반영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하고 이를 천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가 밝힌 입학생들의 출신 고교 유형 비중과 관련 일반고 학생이 다수인데도 자사고와 특목고 출신 학생이 절반을 차지하는 데 대해서도 일반고 출신 비중이 학생수에 비해 절반이면 너무 적다는 지적과 함께 자사고, 특목고가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우선 선발하는 만큼 과도한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이 맞선다.
서울대는 일반고 출신 비중이 절반 정도 유지되도록 전형을 기획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서울대 수시에서는 70% 비중의 일반전형과는 별도로 30%를 선발하는 지역균형선발전형은 일반고별로 학교장 추천 2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수능최저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10% 가량이 탈락하고 있다.
구 국장은 “많은 대학이 학생부 위주 선발 전형에서 수능최저기준을 폐지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가 지역균형선발에서 수능최저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탈락하는 인원은 정시로 넘어가는 만큼 기준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