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강성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이 퇴임 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 공인회계사회]
아주경제 류태웅 기자= 한국공인회계사회 수장이 회계 부정에 대한 담당자 처벌이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밝혔다.
16일 강성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은 퇴임을 앞두고 연 기자간담회에서 "옛날 엔론이나 월드컴 사태를 보면 미국에서는 수십년의 징역이 선고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엔론과 월드컴은 2001년·2002년 잇따라 불거진 분식회계 사건이다. 당시 제프리 스킬링 엔론 최고경영자(CEO)가 징역 24년, 버니 에버스 월드컴 CEO는 징역 25년을 선고받았다.
강 회장은 회계 부정을 감시·적발해야 할 공인회계사들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최근 조선·해운업에서 발생한 대규모 부실 사태는 정말 가슴 아픈 일"이라며 운을 뗐다.
그는 "여러 회계법인 대표들이 모인 가운데 업계 자정을 위한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현 상황에 대해 업계 스스로도 깊은 반성을 하고 있다. 회계사 윤리 의식과 독립성을 강화하고, 전문가 기능을 활성화하는 등 3가지 방향에 주력하려 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회계사의 책임 한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분식회계는 기본적으로 회사가 하지 말아야 한다"며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회사부터 먼저 투명성에 관한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기업이) 외부감사 받는 것을 단순히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며 "기업 가치를 높이는 투자로 인식하고, 사회 역시 그렇게 인식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날 감사원 감사에 의해 확인된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에 대해선 "산업은행이 10년에 걸쳐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보냈는데도 자체 적발되지 않았다"며 "우리나라가 택한 국제회계기준(IFRS4) 등 여러 좋은 제도보다 더욱 필요한 것은 재무제표 작성 시 분식 시도를 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회장은 해법으로 1차 감시망인 사내 감사위원회의 기능 강화를 제시했다.
그는 "지금껏 감사위원회나 감사는 제 역할을 못 했다"며 "이들의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외감법을 개정해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당국이 분식회계를 발견하지 못한 회계법인의 대표에 대해 징계할 수 있도록 제재 강화 방안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는 "감사인의 책임 강화만으로 회계 투명성 높일 수 없다"며 부정적으로 봤다.
그는 "공인회계사 처벌을 강화해도 근본적인 분식 문화 자체가 해결되지 안 된다"며 "분식이 일어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신경 쓰는 게 맞지 않나 하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강성원 회장은 오는 22일 한국공인회계사 총회에서 선출되는 후보에게 차기 회장직을 넘기고 물러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