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올해 10대 그룹 상장사 중 절반 가량 기업의 3분기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기업 집단을 제외한 10대 그룹 계열 12월 결산 상장법인 67개사의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총 242조694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254조6029억원)보다 4.68% 감소했다. 매출이 감소한 기업은 67곳 중 35곳으로 절반을 넘어선다.
감소 폭은 분석 가능한 전체 코스피 상장사(511곳)의 매출 감소율(2.79%)보다 훨씬 크다. 핵심 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대기업의 타격이 더 큰 것이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의 매출이 작년 3분기 51조6825억원에서 올해 3분기 47조4156억원으로 3조8669억원이나 줄어 감소폭이 제일 컸다.
SK이노베이션의 매출도 2조7443억원 준 것을 비롯해 현대중공업(△2조792억원), 현대차(△1조3459억원), 포스코(△1조2484억원) 등의 매출 감소폭이 컸다.
.
LG전자(△8046억원), SK하이닉스(△6814억원), LG상사(△6759억원), SK네트웍스(△6519억원), 현대미포조선(△4390억원), LG디스플레이(△4344억원), 기아차(△4120억원), 포스코대우(△3429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10대 그룹 중 6곳의 매출이 축소됐다. SK그룹의 매출이 3조6867억원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뒤이어 현대중공업(△2조5182억원), 삼성(△2조5021억원), 현대차(△1조9996억원), LG(△1조9420억원), 포스코(△1조6799억원) 그룹의 순이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기업 집단을 제외한 10대 그룹 계열 12월 결산 상장법인 67개사의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총 242조694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254조6029억원)보다 4.68% 감소했다. 매출이 감소한 기업은 67곳 중 35곳으로 절반을 넘어선다.
감소 폭은 분석 가능한 전체 코스피 상장사(511곳)의 매출 감소율(2.79%)보다 훨씬 크다. 핵심 산업의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대기업의 타격이 더 큰 것이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의 매출이 작년 3분기 51조6825억원에서 올해 3분기 47조4156억원으로 3조8669억원이나 줄어 감소폭이 제일 컸다.
.
LG전자(△8046억원), SK하이닉스(△6814억원), LG상사(△6759억원), SK네트웍스(△6519억원), 현대미포조선(△4390억원), LG디스플레이(△4344억원), 기아차(△4120억원), 포스코대우(△3429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10대 그룹 중 6곳의 매출이 축소됐다. SK그룹의 매출이 3조6867억원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다. 뒤이어 현대중공업(△2조5182억원), 삼성(△2조5021억원), 현대차(△1조9996억원), LG(△1조9420억원), 포스코(△1조6799억원) 그룹의 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