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 = 해양수산부]
22일 해운업계와 법원에 따르면, 대한해운은 한진해운과 370억원 규모의 본계약을 체결했다.
인수 대상은 한진해운의 미주·아시아노선의 영업권과 인력, 외국 자회사 7개, 무형 네트워크, 영업정보, 화주 정보 등이다.
대한해운의 한진해운 인력 고용승계 범위는 육상인력 293명과 해외인력 281명이다. 해상인력은 현재 운영 중인 컨테이너선이 없어 본계약에서는 제외됐다.
이에 따라 예비입찰 과정에 참여했던 현대상선과 또 한 번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당초 현대상선은 자신들과 겹치는 노선 영업권보다는 선박과 터미널 매입이 더 큰 관심을 보여왔다.
다만 예비입찰에 참여해야 실사 내용을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미주·아시아노선에 참여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문제는 예비입찰 전에는 자세히 드러나지 않았던 롱비치터미널의 부채 비율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롱비치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한진해운의 자회사 TT는 지난해 연매출 6447억원, 당기순이익 44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하지만 부채 역시(2015년 말 기준) 6341억원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롱비치터미널의 1년 운영비용만 해도 1000억원 이상 들 것으로 보고 있다.
롱비치터미널은 지난해 197만TEU 화물을 처리하는 등 미국 서안 물동량의 30%를 차지할 정도의 매력적인 자산인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6000억원이 넘는 부채 규모는 전 세계적인 해운업이 불황인 가운데 현대상선과 대한해운 양측에게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860억원(매출액 5317억원)에 불과한 대한해운이 모그룹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조달하기에는 만만치 않은 자금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롱비치터미널은 회생 절차가 진행 중인 현대상선이나 중견 해운사인 대한해운에게 재무적 부담을 안겨주는 것은 분명하다”면서 “두 회사에게 ‘독이 든 성배’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결국 롱비치터미널 매각은 TTI 지분 46%를 가진 스위스의 MSC의 결정에 따라 주인이 결정될 전망이다.
구체적인 협상은 대한해운이 미주·아시아노선에 대한 잔금을 치르고 난 다음부터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공정거래위원회의 인수 허가를 받고, 이후 주주총회를 열어 주주들의 승인이 떨어진 후에 잔금을 치르게 된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지 못했지만 기회가 다시 한 번 주어진다면 최선을 다해 인수에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