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 회생을 준비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브리핑을 열고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조사 결과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한 점과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 신청을 계획한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최소 5월 말까지는 태스크포스(TF)를 지속 가동해 이어지는 검찰 수사에 적극 협조하는 한편, MBK 등에 대한 검사와 홈플러스 회계 감리 등을 통해 제기된 불법 의혹 등을 지속적으로 규명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MBK 측의 태도도 비판했다. 그는 "MBK·홈플러스가 회생신청 이후 보여준 모습들을 보면 채무자와 대주주, 채권단 간 주객이 전도됐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대주주 측의 추가 출자, 주주 우선 책임 원칙에 따른 주식 소각 등 경영 실패 책임이 있는 자의 자구책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언급이 없다"고 질타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달 입장문을 내고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에 물품을 납입하는 소상공인들이 원활히 결제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사재를 출연하겠다고 밝혔으나 출연 규모와 시기, 지원 방안 등을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
그는 "납품업체, 임대인, 채권자 등의 희생을 강요하며 정작 자기 책임을 회피한다는 그간의 우려가 현실화되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지부진하게 5, 6월까지 이어진다면 향후 법원 회생 계획안 합의 과정에서 오히려 채권단이 정상화 지연에 대해 더 비난을 받고 양보를 강요받는 역설적 상황까지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회사가 위기에 빠졌을 때 경영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대주주가 자본을 투입하거나 감자를 실시하는 등 경영 책임을 이행한 사례가 일반적이었음을 생각해보면 대주주가 사모펀드라고 해서 경영 정상화에 대한 책임을 다르게 취급하는 건 오히려 특혜"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