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뻣뻣' 우병우 전 수석, "최순실 현재도 모른다"… 모르쇠 일관

  • '최순실 게이트' 5차 청문회 출석…"박 대통령ㆍ김기춘 전 실장 존경한다"

22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5차 청문회에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주진 기자 =22일 ‘최순실 게이트’ 5차 청문회에 출석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역시나 철벽 방어로 일관했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우 전 수석을 상대로 국정농단 묵인, 세월호 참사 당시 수사 압력, 아들의 의무경찰 보직 특혜 의혹과 함께 주요 인사들에 대한 검증 실패 논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했지만, 우 전 수석은 시종일관 뻣뻣한 자세로 “그런 적 없다, 모른다”며 노련하게 질문을 피해갔다. 또 민감한 질문에는 물러서지 않고 꼬박꼬박 자기 할 말을 했다.

특히 '비선실세' 최순실씨의 관계와 가족회사 돈 유용 등 핵심의혹들에 대해서는 시종 모르쇠와 부인으로 일관했다.

우 전 수석은 언론을 통해 알려진 이른바 '정윤회 문건'에 최순실 씨가 권력 서열 1위로 언급됐던 것과 관련해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언론, 검찰 등도 주목한 곳은 없었다" 등으로 답했다.

이에 대해 "당시 문건의 핵심적인 내용은 정 씨가 무슨 식당에서 모여서 (청와대 비서관들과 회동을)한다는 것인데 그것과 관련해 검찰 수사 결과 작성자가 쓴 내용이 허위 문건이라고 결론이 났다"면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허위면 관련된 나머지 부분도 신빙성이 없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우 전 수석은 또 최순실 씨와의 인연에 힘입어 청와대 비서관으로 입성했다는 의혹에 대해 "최순실은 현재도 모른다. 근거없는 의혹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에 들어가서 알았고, 김기춘 비서실장이 비서관직을 제안했다”면서 박 대통령과 김 전 비서실장에 대해 “존경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우 전 수석은 박 대통령에 대해 "존경한다"고 한 것과 관련, "비서로서 대통령을 모신 제 경험상 대통령께서 그렇게 국가와 국민을 위한다, 존경한다고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고, 박 대통령의 탄핵 사유가 정당하냐는 질문에는 "현재 상태에서 '옳다, 그르다' 보단 헌법 절차가 진행 중이라 그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우 전 수석은 지난 2014년 6월 5일 해경 본청을 압수수색하던 광주지검 수사팀에 직접 전화를 걸어 청와대와 해경 사이의 통화 내역이 보관된 상황실 전산 서버를 압수수색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압수수색 하지 말라고 전화한 적 없다"고 부인했다.

우 전 수석은 검찰이 참사 당일 청와대와의 통화 내역이 담긴 해양경찰청 서버를 압수수색할 때 수사팀 간부에게 전화한 사실이 있다고 시인했지만, 당시 검찰과 해경이 압수수색을 놓고 갈등하는 상황을 보고 받고 상황 파악 차원에서 통화했을 뿐 청와대로서 조정하거나 조치를 취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이 "압수수색 현장에 파견된 수사팀과 통화한 사실이 있느냐"고 묻자 "정확히 누군지 몰라도 수사팀의 누군가와 통화한 사실이 있다"며 통화 상대방에 대해 "부장검사급이나 그 이상"이라고 했다.

김 의원이 당시 수사팀 간부인 안상돈(광주고검 차장검사), 이두식(광주지검 차장검사), 윤대진(광주지검 형사2부장) 등을 거론하자 "그 중에 하나 아닐까 싶다"고 진술했다.

우 전 수석은 검찰이 세월호가 침몰한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해경 123정의 해경단장에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하려 하자 이를 막은 의혹도 있다.

이밖에 청와대 의무실 간호장교로 근무했던 조여옥 대위도 이날 '세월호 7시간 의혹'의 키맨으로 주목받았으나 각종 의혹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나서면서 명확한 증거는 밝혀지지 못했다.

한편, 국조특위는 이날 청문회 출석을 거부한 최순실 씨 등 증인 12명에 대해 이날 오후 2시까지 출석하도록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동행명령 대상은 최 씨를 비롯해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 정호성·안종범 등 전 청와대 비서관, 윤전추·이영선 청와대 행정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 등이었지만 결국 청문회에는 출석하지 않았다.

국조특위는 이날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은 최순실, 안종범, 정호성 등에 대해서는 23일 또는 26일에 특위 위원 전원이 구치소 현장으로 나가서 '현장 청문회'를 열 예정이다. 

국조특위는 또 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새누리당 이완영·이만희·최교일 의원의 '위증교사' 논란과 관련, 박영수 특검에게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