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태안화력발전소 하청노동자 故 김용균 3차 범국민 추모제에서 참석자가 촛불과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사고 이후 원청의 책임을 강화하는 이른바 ‘김용균법’이 만들어졌지만 외주화로 인한 사고 발생 요인을 완전히 줄이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5일 국회에서 ‘김용균법 후속대책 마련을 위한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우 의원은 “진상규명위를 조속히 구성·운영해서 사고가 발생한 구조적 원인을 조사하고 재발 방지 및 근본적 개선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사위는 오는 6월 30일까지 조사 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