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입법 분리에 따른 비효율을 막기 위해서는 본회의를 제외한 국회의 모든 기능을 세종시로 이전해야 하며, 기존 여의도 의사당은 4차산업혁명캠퍼스 등 혁신성장 거점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세종시가 주관하고 더불어민주당 국회 세종의사당 추진특별위원회가 주최한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국회의원회관에서 14일 열렸다.
대한민국 균형발전 리:디자인(Re:Design) 한국판 뉴딜 국회 세종의사당으로!를 주제로 열린 정책토론회는 일하는 국회를 표방하며 개원한 21대 국회에서 세종의사당을 주제로 열린 첫 번째 토론회다.
조 박사는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에 따른 이전 규모와 관련, 11개 상임위가 이전하는 대안(B1), 13개가 이전하는 대안(B2), 17개 전체 상임위가 이전하는 대안(B3) 등 3가지를 유력한 안(案)으로 제시했다.
이어 조 박사는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으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전국적으로 7550억 원에 이르며, 부가가치 유발 1421억, 고용유발 2823명, 임금유발 1468억 원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는 등 균형발전 효과가 크고, 국회 세종의사당 이전에 따른 각종 협회, NGO 단체, 국제기구 등 추가 기관의 이전과 정책의 질 제고 효과가 있을 것으로도 전망된다."고 했다.
정책토론에서는 민병두 전 국회의원이 국회의 최소 혹은 중규모 이전은 입법의 분리로 인한 비효율을 초래, 기존 입법-행정의 분리로 인한 비효율에 더해 이중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민 전 의원은 "비효율을 막기 위해서는 본회의장을 제외한 다른 기능을 전부 세종으로 이전해야 한다."며 "신행정수도 건설을 당론으로 뒷받침했던 민주당이 강력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하며, 여·야 간 원만한 합의를 위해서는 시행 시기를 일정기간 미루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2022년 대선 때 개헌안을 국민투표에 부쳐 시행시기를 2032년으로 하면 대통령 임기와 국회의원 임기가 일치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규준 국회사무처 행정법무담당관은 "여·야 합의로 행정부 일부가 세종으로 이전한 이상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청회에 준하는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이전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