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우주항공 분야에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기술 본격 적용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은 지난 22일 코난테크놀로지와 'AI·빅데이터 기반 우주항공분야 기술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A)'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미래비행체, 차세대 고장·수명예측시스템, 고객 후속지원과 훈련체계, 무인기와 드론, 위성 개발 및 데이터 확보 등에 상호 협력한다.

KAI는 우주항공 분야에 4차 산업기술을 융·복합해 신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항공기 신뢰도 향상은 물론 고객 만족 등 시너지를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양사는 군수 빅데이터 체계구축과 항공기 고장·수명예측시스템 개발, 자율비행 및 이미지 데이터 처리 기능이 포함된 무인기와 드론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군수 빅데이터 분야는 기술 정보를 디지털화 함으로써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미국과 유럽 등 우주항공 및 방위산업에서도 핵심 기술로 인식해 미래먹거리로 주목하며 시장규모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군수 빅데이터 체계구축은 무기체계 총수명 주기비용의 60~70%에 해당하는 운영유지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어 다양한 사업 확대가 예상된다.

고장·수명예측시스템은 항공기 상태를 진단해 잔여 수명을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정비 효율성의 극대화에 연관된 분야다.

항공기 운용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적용 시 T-50, FA-50, 수리온과 현재 개발 중인 KF-21, LAH의 항공기 안정성을 사전에 예지할 수 있는 기능이 강화되어 군 전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인기 분야는 딥러닝 기반 영상인식 기술과 소프트웨어 통합으로 KAI 무인기의 자율비행과 정찰 임무 성능 강화를 통해 향후 무인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종호 KAI 기술혁신센터장(전무)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 기술과 융·복합을 통한 우주항공기술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