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으로 인해 가계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할 경우 전체 가구의 연간 소비가 0.37%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같은 소비 둔화는 취약계층인 고부채-저소득, 고부채-비자가 가구에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7일 한국은행은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 제하의 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대가 향후 민간소비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소득과 부채수준이 서로 다른 개별 가계에 원리금상환액 증가는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한은이 실증분석에 나선 결과 전체 가구를 기준으로 DSR가 1%포인트 증가할 경우 평균적으로 0.37%의 가계소비 둔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채가 많은 저소득가구의 경우 DSR 1%포인트 증가 시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감소폭을 크게 상회했다. 또한 부채가 많으면서 집을 보유하지 않은 비자가 가구 역시 소비위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오태희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고부채-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감소폭은 0.46%로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양적 차이는 없지만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 측면에서 소비 위축 충격이 더 큰 것으로 평가된다"며 "다만 부채 수준을 배제하고 소득 기준만 적용하면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둔화폭(0.42%)이 저소득 가구 소비(0.28%)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에 한은은 향후 가계 금융부담이 가중될 경우 고부채-저소득 등 전형적인 취약계층의 소비가 필수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의 경우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이를 감안한 정책설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오 과장은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 안정뿐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7일 한국은행은 '금리상승 시 소비감소의 이질적 효과' 제하의 BOK 이슈노트 보고서를 통해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 증대가 향후 민간소비 둔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소득과 부채수준이 서로 다른 개별 가계에 원리금상환액 증가는 소비선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한은이 실증분석에 나선 결과 전체 가구를 기준으로 DSR가 1%포인트 증가할 경우 평균적으로 0.37%의 가계소비 둔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부채가 많은 저소득가구의 경우 DSR 1%포인트 증가 시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감소폭을 크게 상회했다. 또한 부채가 많으면서 집을 보유하지 않은 비자가 가구 역시 소비위축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오태희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고부채-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감소폭은 0.46%로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양적 차이는 없지만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 측면에서 소비 위축 충격이 더 큰 것으로 평가된다"며 "다만 부채 수준을 배제하고 소득 기준만 적용하면 중·고소득 가구의 소비 둔화폭(0.42%)이 저소득 가구 소비(0.28%)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