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2/20/20221220094512673970.jpg)
11월 22일 오후 전남 화순군 동복댐에서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강기정 광주시장이 탑승한 배가 저수율을 살피며 운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본격적인 영농이 시작되는 내년 4월 이후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정부가 선제적 용수확보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917.2㎜)은 평년의 97% 수준이지만 남부지방은 평년의 65~84%에 불과해 기상 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내년 2월까지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가뭄은 대체로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68.2%)은 평년의 96%로 대부분 정상이지만, 강수량이 적은 전남과 전북의 저수율은 평년의 77% 수준으로 낮은 상황이다. 동절기 노지 밭작물은 용수 수요가 적어 밭 가뭄 우려는 적을 것으로 전망되나, 저수율이 낮은 지역은 내년 본격적인 영농이 시작되는 4월 이후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까지 가뭄이 계속될 것에 대비해 겨울철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 133개소에 하천수 양수를 통한 물 채우기를 실시한다. 내년 영농기에는 하천수, 농경 배수 등을 활용해 농경지에 직접 공급하는 등 1946만톤의 용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농업가뭄 상황에 따라 가뭄 우려지역에 관정(지하수) 개발, 양수시설 설치, 급수 지원 등에 필요한 가뭄대책비를 앞당겨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재천 농식품부 농업기반과장은 "지역별 강수량과 저수지 저수율을 꼼꼼히 살피고 지자체,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내년 영농에 차질 없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