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영농형 태양광으로 농산물과 전기생산을 동시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군산)허희만 기자
입력 2023-06-12 09: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지원사업 첫 모내기 실시

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 내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지원사업 완공에 따른 모내기 모습[사진=군산시]


전북 군산시농업기술센터는 12일 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 내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지원사업 완공에 따른 모내기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 실증시범사업은 에너지 고갈 등 자원 위기에 대비해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발맞춰 농업에서 작물재배와 신재생에너지를 동시에 추진 할 수 있는 정부정책 사업이다.
 
농지를 최대한 훼손하지 않으면서 구조물을 설치하고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해 농업인의 소득을 보전하고 아래 농지에서는 농작물을 재배,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재생에너지 확산을 동시 충족할 수 있는 사업으로 지난 2020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 완공된 ‘군산시 영농형 태양광 재배모델’은 농업기술센터 시험포장 882㎡ 규모에 48.88kwh 생산용량으로 설치됐으며 생산된 전기는 과학영농종합분석센터에 자체 공급해 전력사용량의 최대 40%까지 충당, 연간 1450여만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향후 3년간 군산 대표 벼 품종인 신동진벼를 대상으로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의 논벼 수량 변화와 농기계 활용을 고려한 시설 설치, 태양광 적정모델 선정과 태양광에서 발생되는 전기 생산량 등 논벼 실증재배와 관련한 데이터 수집과 재배작물의 효율적인 재배기술, 생육상황, 수량성 등 재배관련 연구를 진행한다.
 
이날 직원들과 함께 모내기를 한 강임준시장은 “현재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법 개정 등 국회 차원에서의 입법 활동과 여러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영농형태양광 사업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고 재배실증사업을 통해서 농업인들이 영농형 태양광 발전사업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