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국감 프리뷰] 법사위, 이재명 영장 기각 놓고 '진흙탕 공방' 예고

지난달 1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최재해 감사원장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출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최재해 감사원장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출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21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마지막 국정감사가 다음 주 실시된다. 이민청 설치와 형사미성년자 연령 조정 등 주요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수사와 구속영장 기각을 놓고 여야 간 극한 대립이 예상된다. ‘진흙탕 국감’ 재현 우려도 나온다.
 
법사위는 10일 대법원을 시작으로 법무부와 헌법재판소, 감사원, 법원·검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27일까지 진행한다. 감사 대상은 새로 신설된 수원회생법원을 포함해 총 80곳에 달한다.
 
국감에서 여야 법사위원들은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를 두고 치열한 대치를 이어갈 예정이다. 특히 지난달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측 구속영장 청구가 기각된 것을 두고, 야권은 관련 국감에서 총공세를 예고한 상황이다. 
 
야당 법사위원들은 법원이 지난달 27일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기각하면서 주요 혐의에 대한 소명 부족을 지적했다는 점을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법원은 당시 이 대표의 ‘위증교사’에 대한 혐의 소명은 이뤄졌지만 대북 송금 의혹에 대해서는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한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이 대표 수사와 구속영장 청구에 대한 적절성과 정당성을 문제 삼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미 민주당과 검찰은 이 대표에 대한 압수수색 횟수를 두고 전초전을 이어간 바 있다. 대검찰청은 지난달 30일 ‘이 대표를 두고 검찰이 그간 376회에 달하는 압수수색을 벌였다’는 민주당 측 주장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수사 현안 등에 대한 질의를 통해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적극 거론할 전망이다. 위증교사 의혹 등 검찰이 수사 중인 이 대표의 사법방해 의혹을 지적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구속영장 기각 여파는 11일 열리는 법무부 국감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야당이 지난달 21일 이 대표에 대한 한동훈 장관의 체포동의안 설명에 대해 '피의사실 공표'라고 비판해 온 만큼 국감장에서 적극적인 공세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 
 
이민청 설치와 형사미성년자 연령 조정 논의에 대한 질의와 함께 야당 위원들이 검찰 수사권 복원 시도와 인사검증관리단 설치를 놓고 한 장관에 대한 압박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법무부는 ‘검사와 사법경찰관 간 상호 협력과 일반적 수사준칙에 관한 규정’을 통해 개정 검찰청법을 우회하는 방식으로 입법 보완을 추진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