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누적 3분기까지 전국 주택 착공 물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줄었다. 주택 인허가도 33% 줄었고, 준공 역시 13%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정부가 지난달 말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으나 공급이 크게 늘어나지 않은 모습이다.
인허가·착공·준공 '트리플 감소'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5만5871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7% 감소했다. 수도권은 10만2095호로 22.6%, 지방에서는 15만3776호로 38.1% 줄었다.
아파트 인허가가 21만9858호로 29.6%,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3만6013호로 47% 각각 감소했다.
1∼9월 착공 물량은 12만5862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2% 줄었다. 수도권은 6만250호로 59.6%, 지방은 6만5612호로 54.7% 줄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9만5226호로 58.1%, 아파트 외 주택 착공은 3만636호로 54% 줄었다. 또 같은 기간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5만1417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4375호로 14.3%, 지방은 11만7042호로 10.4%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2019년 1∼9월 준공 물량이 21만2000호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만에 8만호 가량 줄어든 규모다. 이로써 지난 8월에 이어 인허가와 착공, 준공 누계 물량이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아파트 인허가가 21만9858호로 29.6%,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3만6013호로 47% 각각 감소했다.
1∼9월 착공 물량은 12만5862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2% 줄었다. 수도권은 6만250호로 59.6%, 지방은 6만5612호로 54.7% 줄었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9만5226호로 58.1%, 아파트 외 주택 착공은 3만636호로 54% 줄었다. 또 같은 기간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5만1417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수도권은 13만4375호로 14.3%, 지방은 11만7042호로 10.4% 감소했다. 수도권의 경우 2019년 1∼9월 준공 물량이 21만2000호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년 만에 8만호 가량 줄어든 규모다. 이로써 지난 8월에 이어 인허가와 착공, 준공 누계 물량이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미분양 소폭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은 늘어···주택 거래량 급증
9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5만9806호로 전월 대비 3.2%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은 7672호로 0.1% 감소했고, 지방은 5만2134호로 3.7% 줄었다.다만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국적으로 전월보다 1.3% 증가한 9513호로 집계됐다.
올해 9월까지 누적 공동주택(30세대 이상) 분양은 전국 10만8710호로 작년 동기보다 42.2% 줄었다. 수도권이 5만9488호로 25.9%, 지방은 4만9222호로 54.4% 감소했다.
지난 9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4만944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6% 증가했다. 수도권이 2만2741건으로 80.4%, 지방도 2만6707건으로 34.9% 늘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396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8.8% 증가했다.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0만1476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8% 줄었다.
전세 거래량이 8만9478건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 줄었고, 월세는 11만1998건으로 1.8% 늘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5.1%로 지난해 동기보다 3.3%포인트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