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산업계, 트럼프 '보편관세' 정책에 일제히 철회 목소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우주성 기자
입력 2025-02-02 19: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내 노조와 업계에서도 관세 부과를 재고해 줄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국 철강노조(USW)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대한 성명에서 "USW는 오랫동안 고장 난 무역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개혁을 요구해왔지만, 캐나다와 같은 주요 동맹국을 공격하는 것은 앞으로 나아가는 길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USW는 "매년 약 1조3000억달러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 미국 국경을 지나 140만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이러한 관세는 캐나다에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국경 양쪽의 산업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노조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캐나다 관세에 대한 정책을 바꿔 장기적으로 노동자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는 무역 해법에 집중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AFPM)도 보편관세 정책에 대한 성명을 내고 우려를 표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AFPM는 관련 성명에서 "북미 이웃 국가들과 신속히 해결책을 마련해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느끼기 전에 원유, 정제 및 석유화학 제품이 관세 일정에서 제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존 보젤라 자동차혁신연합 회장도 "북미의 원활한 자동차 무역은 3000억달러의 경제적 가치를 차지한다"며 "이는 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산업 일자리, 자동차 선택 및 미국의 자동차 구매력을 지원한다"고 언급했다.
 
소비자 브랜드 협회(CBA)의 톰 매드레키 부사장은 보편관세 부과에 대해 "멕시코, 캐나다에서 수입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관세, 특히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재료와 투입물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 가격을 높이고 미국 수출업체에 대한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형 소매업체들을 대변하는 미국소매협회(NRF)의 데이비드 프렌치 정부 관계 담당 선임부회장도 "이런 보편관세가 존재하는 한 미국인은 일상소비재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도록 강요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